안녕하세요.
제주셀로나입니다.
오늘은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29번부터 35번까지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답] ②
[해설] (가)는 왕이 신하에게 편찬하라고 한 삼국에 대한 역사서는 김부식의 삼국사기입니다.
(나)는 범례는 자치통감에 의거하였고, 삼국기, 신라기, 고려기, 외기로 편찬한 역사서는 서거정의 동국통감입니다.
(다)는 첫 머리가 기이편이므로 일연의 삼국유사입니다.
(라)는 남북국에 대한 내용이므로 유득공의 발해고입니다.
따라서 (가)-(다)-(나)-(라)인 ②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정답] ②
[해설] ㄱ. 삼국사기는 유교 사관에 입각하여 기전체 형식으로 저술하였습니다.
ㄷ. 삼국유사는 불교사를 중심으로 민간 설화 등을 수록하였습니다.
따라서 ㄱ,ㄷ인 ②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ㄴ. 사초와 시정기를 바탕으로 실록청에서 편찬하였던 역사서는 조선왕조실록입니다.
ㄹ. 고조선부터 고려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정리하였던 역사서는 동국통감입니다.
[정답] ①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어재연 장군이므로
(가) 사건은 신미양요입니다.
따라서 종로와 전국 각지에 척화비가 세워졌다는 ①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② 평양 관민이 제너럴 셔먼호를 불태웠던 것은 신미양요의 원인이 되는 사건(1866)이므로 (가) 이전입니다.
③ 한성근 부대가 문수산성에서 항전하였던 사건은 병인양요(1866)입니다.
④ 신유박해(1801)로 많은 천주교도가 처형되었던 시기는 조선 순조 때입니다.
⑤ 오페르트가 남연군 묘 도굴을 시도(1868)하였던 것은 (가) 이전입니다.
[정답] ②
[해설] (가) 조약은 제1관 조선은 자주국이라고 명시하면서 제10관으로 치외법권을 인정하고 있으므로
강화도조약임을 알 수 있습니다.
(나) 조약은 조선과 미국의 조약이므로 조·미수호통상조약입니다.
따라서 통리기무아문이 설치되었다는 ②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공사 노비법이 혁파되었던 것은 제1차 갑오개혁입니다.
③ 한성 전기 회사가 설립되었던 것은 광무개혁입니다.
④ 건양이라는 독자적인 연호가 채택되었던 것은 을미개혁입니다.
⑤ 지방 행정 구역이 8도에서 23부로 개편되었던 것은 제2차 갑오개혁입니다.
[정답] ④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성난 군중이 공사관을 습격, 민겸호이므로
자료의 사건은 임오군란입니다.
따라서 구식 군인에 대한 차별 대우가 발단이 되어 일어났다는 ④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전주 화약이 체결되는 계기가 되었던 사건은 동학농민운동입니다.
② 입헌 군주제 수립을 목표로 전개되었던 사건은 만민공동회입니다.
③ 김기수가 수신사로 파견되는 결과를 가져온 것은 강화도 조약입니다.
⑤ 3일 만에 실패로 끝나 주동자들이 해외로 망명하였던 사건은 갑신정변입니다.
[정답] ①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국어 연구, 주보따리이므로
(가) 인물은 주시경입니다.
따라서 국문 연구소의 연구위원으로 활동하였다는 ①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②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구속되어 옥고를 치른 것은 주시경이 죽은 후 사건입니다.
③ 국권 피탈 과정을 정리한 한국통사를 집필하였던 인물은 박은식입니다.
④ 세계지리 교과서인 사민필지를 한글로 저술하였던 인물은 헐버트입니다.
⑤ 여유당전서를 간행하고 조선학 운동을 전개하였던 인물은 정인보입니다.
[정답] ⑤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외채 1,300만 원이므로
위 사건은 국채보상운동입니다.
따라서 대한매일신보 등 당시 언론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는 ⑤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치안 유지법은 1925년에 제정되었습니다.
② 백정에 대한 사회적 차별 철폐를 요구하였던 사건은 형평 운동입니다.
③ 독립문 건립을 위한 모금 활동을 전개하였던 것은 독립 협회입니다.
④ 자작회, 토산 애용 부인회 등의 단체가 활동하였던 사건은 물산 장려 운동입니다.
'한능검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43~50번 풀이 (0) | 2025.01.30 |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36~42번 풀이 (1) | 2025.01.29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22~28번 풀이 (0) | 2024.12.08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15~21번 풀이 (2) | 2024.12.08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8~14번 풀이 (2) | 2024.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