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주셀로나입니다.
오늘은 2024학년도 수능 한국사 15~20번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답] ①
[해설] 이 문제에 대한 키워드는 고종의 서거, 민족 자결주의 대두이므로
밑줄 친 이 운동은 1919년에 일어난 3·1운동이 되겠습니다.
따라서 3·1운동의 영향으로 문화 통치가 실시되었으므로
정답은 ①번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② 만민 공동회는 1897년 독립 협회에서 개최하였습니다.
③ 치안 유지법은 1925년에 제정되었습니다.
④ 좌우 합작 위원회는 1946년에 좌우 합작 운동을 위해 결성한 단체입니다.
⑤ 한일 협정은 1965년에 일어났습니다.
[정답] ⑤
[해설] 이 문제에 대한 키워드는 미국 전략 정보국, 국내 진공 계획이므로
(가) 군대는 1940년에 창설한 한국광복군이 되겠습니다.
따라서 한국광복군의 활동을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정답은 인도·미얀마 전선에 투입되었다는 ⑤번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쌍성보 전투는 1930년대에 한국독립군이 중국 의용군과 연합해서 일본과 싸웠던 전투입니다.
② 인천 상륙 작전은 6·25전쟁 때 맥아더 장군이 서울을 수복하기 위해 벌였던 작전입니다.
③ 고종의 밀명을 받아 조직되었던 단체는 독립의군부입니다.
④ 청산리 전투는 김좌진의 북로군정서군과 홍범도의 대한독립군 등의 연합부대로 일본군과 싸워 승리하였습니다.
[정답] ②
[해설] 이 문제에 대한 키워드는 우리나라 최초 보통선거이므로
(가) 선거는 1948년에 5월 10일에 실시한 5·10 총선거가 되겠습니다.
따라서 5·10총선거의 내용을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정답은 제헌 국회 의원을 선출하였다는 ②번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발췌 개헌에 따라 실시되었던 선거는 1952년 제2대 대통령 선거가 되겠습니다.
③ 통일 주체 국민 회의에서 추진되었던 선거는 1972년 유신 헌법 이후의 선거입니다.
④ 아관파천은 1896년에 일어난 사건으로 을미사변과 을미개혁으로 인해 일본이 지배하려고 하자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해 러시아로 하여금 일본을 견제하려고 시도했던 사건입니다.
⑤ 조선 태형령은 1910년대 일제의 정책 중 하나입니다.
[정답] ④
[해설] 이 문제에 대한 키워드는 금융실명제이므로
다음 연설이 행해진 정부는 김영삼 정부가 되겠습니다.
따라서 김영삼 정부의 정책을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정답은 경제 협력 개발 기구(OECD)에 가입하였다는 ④번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지계아문에서 지계를 발급한 것은 대한제국의 정책입니다.
③ 경부 고속 도로 개통은 박정희 정부의 정책입니다.
④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은 임오군란 후 청과 맺었던 조약입니다.
⑤ 유상 매입, 유상 분배의 농지 개혁법 제정은 이승만 정부의 정책입니다.
[정답] ⑤
[해설] 이 문제에 대한 키워드는 4월 19일, 3·15 부정 선거이므로
밑줄 친 시위는 1960년 4월 19일에 일어난 4·19혁명이 되겠습니다.
따라서 4·19혁명의 영향을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정답은 내각 책임제를 골자로 하는 개헌의 계기가 되었다는 ⑤번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3·1 민주 구국 선언은 유신 체제에 반대하는 선언입니다.
② 4·13 호헌 조치의 철폐를 주장하였던 운동은 1987년 6월 민주 항쟁입니다.
③ 신군부 세력의 권력 장악에 저항하였던 운동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입니다.
④ 6·10 만세 운동이 일어나는 결과를 가져왔던 것은 순종의 서거입니다.
[정답] ③
[해설] 이 문제에 대한 키워드는 자주·평화·민족 대단결의 통일 원칙이므로
밑줄 친 성명은 1972년에 일어난 7·4남북 공동 성명이 되겠습니다.
따라서 7·4남북 공동 성명이 언제 일어났는지를 물어보는 문제입니다.
정답은 7·4 남북 공동 성명 이후 북한은 주체 사상을 주장하면서 김일성 독재 체제를 구축했고
남한은 박정희 정부가 유신 헌법을 발표하면서 유신 체제로 인해 박정희 독재 체제를 구축하였으므로
③번이 되겠습니다.
'수능 한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학년도 수능 한국사 풀이(8~14번) (1) | 2023.11.29 |
---|---|
2024학년도 수능 한국사 풀이(1~7번) (2) | 2023.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