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제주셀로나입니다.
오늘은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2회
1번부터 7번까지 풀이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정답] ①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민무늬 토기, 비파형 동검, 고인돌이므로
(가) 시대는 청동기 시대입니다.
따라서 반달 돌칼로 벼를 수확하였다는 ①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② 주로 동굴이나 막집에서 거주하였던 시대는 구석기 시대입니다.
③ 소를 이용한 깊이갈이가 일반화되었던 시대는 철기 시대입니다.
④ 호미, 쇠스랑 등의 철제 농기구를 제작하였던 시대는 철기 시대입니다.
⑤ 가락바퀴와 뼈바늘을 이용하녀 옷을 만들기 시작하였던 시대는 신석기 시대입니다.
[정답] ②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쑹화 강, 영고이므로
위 나라는 부여입니다.
따라서 (가)에 들어갈 내용은
여러 가가 별도로 사출도를 다스렸다는 ②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정사암에 모여 재상을 선출하였던 나라는 백제입니다.
③ 읍락 간의 경계를 중시하는 책화가 있었던 나라는 동예입니다.
④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범금 8조를 두었던 나라는 고조선입니다.
⑤ 제사장인 천군과 신성 지역인 소도가 존재하였던 나라는 삼한입니다.
[정답] ①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수로왕릉, 구지봉, 대성동 고분군이므로
(가) 나라는 가야입니다.
따라서 덩이쇠를 화폐처럼 사용하였다는 ①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② 한 무제의 공격으로 멸망하였던 나라는 고조선입니다.
③ 혼인 풍속으로 민며느리제가 있었던 나라는 옥저입니다.
④ 골품에 따라 관등 승진에 제한이 있었던 나라는 신라입니다.
⑤ 빈민을 구제하기 위해 진대법을 시행하였던 나라는 고구려입니다.
[정답] ⑤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불교 수용과 태학 설립이므로
밑줄 그은 왕은 고구려 소수림왕입니다.
따라서 율령을 반포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는 ⑤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평양으로 수도를 옮겼던 왕은 고구려 장수왕입니다.
② 병부와 상대등을 설치하였던 왕은 신라 법흥왕입니다.
③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던 왕은 백제 무령왕입니다.
④ 고흥에게 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던 왕은 백제 근초고왕입니다.
[정답] ③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선화 공주 설화이므로
이와 관련된 탑은 미륵사지 석탑입니다.
따라서 ③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입니다.
②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 석탑입니다.
④ 발해 영광탑입니다.
⑤ 경주 감은사지 삼층석탑입니다.
[정답] ⑤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가): 계백과 황산벌, (나): 검모잠, 부흥, 안승이므로
(가)는 황산벌 전투, (나)는 고구려의 부흥 운동입니다.
따라서 복신과 도침이 부여풍을 왕으로 추대하였다는 ⑤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당이 안동도호부를 요동으로 옮겼던 것은 나·당 전쟁 이후이므로 (나) 이후입니다.
② 성왕이 관산성 전투에서 전사하였던 것은 (가) 이전입니다.
③ 신라군이 기벌포에서 당군을 격파하였던 것은 나·당 전쟁이므로 (나) 이후입니다.
④ 김춘추가 당과의 군사 동맹을 성사시켰던 것은 (가) 이전입니다.
[정답] ②
[해설] 이 문제의 키워드는 고구려 문화 계승과 당 문화 수용이므로
(가) 국가는 발해입니다.
따라서 주자감을 설치하여 인재를 양성하였다는 ②번이 정답이 되겠습니다.
[오답풀이]
① 후당과 오월에 사신을 파견하였던 나라는 후백제입니다.
③ 9서당과 10정의 군사 조직을 운영하였던 나라는 통일 신라입니다.
④ 화백 회의에서 국가의 중대사를 논의하였던 나라는 신라입니다.
⑤ 내신좌평, 위사좌평 등 6좌평의 관제를 마련하였던 나라는 백제입니다.
'한능검 심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43~50번 풀이 (0) | 2025.01.30 |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36~42번 풀이 (1) | 2025.01.29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29~35번 풀이 (0) | 2024.12.08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22~28번 풀이 (0) | 2024.12.08 |
한국사검정능력시험 심화 61회 15~21번 풀이 (2) | 2024.12.08 |